 Apple Lover Developer & Artist

영속적인 디자인에 현대의 공감을 채워넣는 공방입니다

반응형

디자인 12

[Challenge] 3주만에 앱스토어에 앱 출시하기 - 7부 앱스토어 배포

Overview 본 글은 짧은 시간을 투자하여 앱스토어에 나만의 앱을 출시하고 싶은 독자를 대상으로 개발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작성하였습니다. 6부에서는 코어데이터와 SwiftUI를 연동하여 데이터베이스 규칙에 알맞게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해보았스니다. 마지막 7부에서는 개발한 앱을 앱스토어에 배포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을 조망해보겠습니다. 독자 여러분께서는 포스팅을 읽고 "앱 개발 별거 아니네!" 생각할 수 있도록 인도할 수 있다면 본 포스팅을 목적을 다하는 것입니다. 이전 포스팅을 읽지 않으셨다면 반드시 보고 오세요. [Challenge] 3주만에 앱스토어에 앱 출시하기 - 6부 Business 계층 개발 Overview 본 글은 짧은 시간을 투자하여 앱스토어에 나만의 앱을 출시하고 싶은 독자를..

[Challenge] 3주만에 앱스토어에 앱 출시하기 - 4부 설계 및 데이터 모델 개발

Overview 본 글은 짧은 시간을 투자하여 앱스토어에 나만의 앱을 출시하고 싶은 독자를 대상으로 개발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작성하였습니다. 3부에서는 가시적인 성과물을 만들기 위한 프로토타입 제작 과정을 조망해 보았습니다. 4부에서는 iOS 개발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데이터 모델의 개발 과정을 조망해 보겠습니다. 독자 여러분께서 포스팅을 읽고 "앱 개발 별거 아니네!" 생각할 수 있도록 인도할 수 있다면 본 포스팅은 목적을 다하는 것입니다. 이전 포스팅을 읽지 않으셨다면 반드시 보고 오세요. [Challenge] 3주만에 앱스토어에 앱 출시하기 - 3부 프로토타이핑 Overview 본 글은 짧은 시간을 투자하여 앱스토어에 나만의 앱을 출시하고 싶은 독자를 대상으로 개발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작성하였습니다..

[Challenge] 3주만에 앱스토어에 앱 출시하기 - 3부 프로토타이핑

Overview 본 글은 짧은 시간을 투자하여 앱스토어에 나만의 앱을 출시하고 싶은 독자를 대상으로 개발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작성하였습니다. 2부에서는 성과물을 만들어나가기 위해 필요한 작업 관리 방식의 전 과정을 다루어보았습니다. 3부에서는 iOS 앱 개발 도구를 활용하여 가시적인 성과물을 만들기 위한 프로토타입 제작 과정을 조망해 보겠습니다. 독자 여러분께서 포스팅을 읽고 "앱 개발 별거 아니네!" 생각할 수 있도록 인도할 수 있다면 본 포스팅은 목적을 달성하는 것입니다. 이전 포스팅을 읽지 않으셨다면 반드시 보고 오세요. [Challenge] 3주만에 앱스토어에 앱 출시하기 - 2부 작업 관리 Overview 본 글은 짧은 시간을 투자하여 앱스토어에 나만의 앱을 출시하고 싶은 독자를 대상으로 개발 ..

[Challenge] 3주만에 앱스토어에 앱 출시하기 - 1부 기획과 디자인

Overview 본 글은 짧은 시간을 투자하여 앱스토어에 나만의 앱을 출시하고 싶은 독자를 대상으로 개발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작성하였습니다. 앱을 기획하고 디자인하는 것부터 개발하여 출시하는 것까지 전 과정을 조망시켜 드리겠습니다. 독자 여러분들께서 포스팅을 읽고 "앱 출시 별거 아니네!" 생각할 수 있도록 인도할 수 있다면 본 포스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입니다. GoodJob 프로젝트 이번에 출시한 앱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들을 위한 채용 구직 관리 시스템을 iOS 앱으로 개발해보았습니다. 구직자가 마음에 드는 채용공고를 스크랩하고 채용 프로세스의 진행 과정에서의 경험을 기록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습니다. 취준생의 가벼운 주머니 사정을 고려하여 무료로 배포 중입니다. ‎GoodJob 플래너 (채용지원..

[회고] 2023년 중반기 회고 - 접점

Overview 2023년 중반기 핵심 경험을 회고하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생각해 본다. 세계관의 확장 20대의 절반 동안 컴퓨터라는 언어로 세상을 보았다. 컴퓨터 외의 것들은 별로 아는 것이 없었다. 무지는 나의 삶을 잿빛으로 만들었다. 세상 밖에서 무엇을 봐야 할지도 어떻게 즐겨야 할지도 몰랐기 때문이다. 컴퓨터 프로그래밍만 잘하면 되겠지. 지난 5년간의 생각이었다. 지금은 생각이 달라졌다. 인간이 컴퓨터에 담은 생각은 어디에서 왔는지 질문을 던지고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과 실력 프로그래머는 무엇을 하는 사람일지 생각해 봤다. 기계적으로 보면 컴퓨터 메모리에 낙서하는 사람들일지도 모른다. 다만, 낙서에 담긴 추상적 의미에 따라서 세상을 바꾸는 작품이 되기도 한다. 전통적 관점에서 글을 쓰는 작가가 유..

반응형